978-89-423-1125-5
남미혜
nmhya@hanmail.net
(주)지식산업사
02)734-1978
www.jisik.co.kr
2010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조선시대에 양잠업은 농업과 함께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되었다. 전통사회에서 직물은 의복의 원료인 동시에 화폐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국가에서는 재정의 근간이 되는 쌀과 직물의 안정적 수취를 위하여 농업뿐만 아니라 의료작물(衣料作物) 재배에도 상당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남녀의 일을 ‘남경여직’(男耕女織; 남자는 농사짓고 밭 갈며 여자는 길쌈을 함)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백성들이 농업경영만으로는 생계를 이어가기 어려울 경우 그 모자라는 부분을 여성 부업의 지속적 경영을 통해 보충하라는 의미에서였다. 따라서 양잠업은 조선시대 여성이 종사할 수 있는 항산(恒産)의 주요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왕과 왕비가 백성들에게 몸소 농사짓고 누에치는 모범을 보이기 위하여 친경례, 친잠례를 거행하였다. 친잠례는 왕비가 주관하는 국가의 공식 의례로서, 직접 백성들에게 누에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양잠을 장려하려는 목적에서 거행되었다. 한편 조선전기에는 양잠업을 널리 보급시키기 위해서 각 지역에 잠실을 설치, 운영하였다. 잠실은 각 지방의 주요 도읍과 대궐․한양 일대에[京中]에 설치되었다. 태종대부터 설치되기 시작한 국영잠실은 세종대에 이르면 평안도와 강원도, 함경도 지역에까지 확대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잠실이라는 지명과 양잠과 관련된 대다수의 지명들은 이러한 역사적 유래를 반영하고 있다.
조선전기에 양잠업은 국가의 양잠정책 시행과 16세기 사회경제적인 변화추세에 부응하여 농가경제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부업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16세기에 향촌에서 장시가 늘어남에 따라 양잠업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었다. 양잠업은 경작할 전답이 적은 사대부들이나 농민들에게 생계유지를 위한 주요 경제활동으로 행해졌으며, 지주들에게는 고수익을 보장해 주는 주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16세기 경상도 성주지역에 유배된 사대부 이문건은 성주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양잠을 경영하고 있었다.
조선전기에 활발히 추진되던 양잠정책은 양란 이후 거의 시행이 되지 못하였다. 국가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다각도로 전개되었지만, 광해군-현종대에는 특별한 권잠정책이 추진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양잠정책의 부진이 양잠업의 쇠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17세기 양잠업은 기술면에서도 점진적인 발전을 하고 있었으며, 경상도 안동 지역의 양잠관행을 수록한 지역 잠서인
시작하는 말
1장 조선 초기 농상정책의 수립과 양잠의례의 정비
1.1. 농상정책의 수립과 의료작물 재배상황
1.1.1. 농상정책의 수립
1.1.2. 의료작물의 재배상황
1.2. 양잠의례의 정비와 거행
1.2.1. 선잠제의 정비
1.2.2. 친잠례의 시행
2장 15세기 권잠정책의 시행과 양잠업의 보급
2.1. 식상(植桑)정책의 추진과 잠실의 설치
2.1.1. 식상정책의 추진
2.1.2. 잠실의 설치와 운영
2.1.3. 잠실의 폐단과 기능의 변화
2.2. 잠서(蠶書)의 간행과 양잠업 보급의 확대
2.2.1. 잠서의 간행과 보급
2.2.2. 북방지역으로 양잠업 보급
3장 16세기 권잠정책과 양잠업의 활성화
3.1. 16세기 권잠정책의 시행과 변화
3.1.1. 잠실의 복치와 민폐론의 등장
3.1.2. 농상교서의 반포와 정책의 변화
3.1.3. 권잠정책 변화의 의미
3.2. 양잠업 활성화의 배경과 영향
3.2.1. 고급 직물의 수요 증가와 복식사치의 유행
3.2.2. 기타 복식의 사치
4장 16세기 향촌의 양잠 실태와 그 의미
《묵재일기》(默齋日記)를 중심으로
4.1. 양잠시기와 잠농력(蠶農曆)
4.2. 잠종(蠶種)의 마련과 양잠 과정
4.2.1. 잠종의 마련
4.2.2. 잠실과 뽕잎의 공급
4.3. 고치의 수확과 가공
4.3.1. 고치 수확량
4.3.2. 방적과 방직
4.4. 양잠업 경영의 성격
4.4.1. 자가 소비
4.4.2. 상품 생산
5장 17세기 양잠정책의 추이와 양잠업의 성장
5.1. 17세기 양잠정책의 추이
5.1.1. 광해군-현종대의 양잠정책
5.1.2. 숙종대의 양잠정책
5.2. 17세기 지역 잠서(蠶書)의 등장과 기술의 발전
5.2.1. 지역 잠서의 등장
5.2.2. 양잠기술의 발전
6장 18세기 영조대의 양잠정책과 양잠업
6.1. 영조대의 양잠정책
6.1.1. 친잠례의 시행
6.1.2. 식상(植桑)정책의 추진
6.2. 생산지역의 확대와 명산지(名産地) 형성
6.2.1. 생산지역의 확대
6.2.2. 명산지의 형성
맺는 말
보론-조선시대 양잠업과 여성
부 록
양잠 관련 용어
참고문헌
찾아보기